아이패드나 모바일 기기 사용자는 '새 창에서 열기'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. - 특강
- 확실한 수학, 불완전한 수학 (동영상) (고려대 대학원 전기전자공학부 강연, 2013.5.30.) - 공학수학 교육과 소통: 전공 속 교양교육 (동영상) (공학교육 컨퍼런스: 학제간 소통은 왜, 어떻게 해야 하나? 2014.4.18.) - 신호와 시스템: 미분방정식과 동특성 (고려대 공학교육 거점·혁신센터 융합교과목, 2013.1.15.) - 좋은 연구와 연구윤리 (고려대 대학원 신소재공학과 강연, 2013.10.30.) - 좋은 논문 바르게 쓰기 (충북대 이공계 대학원 강연 - 같은 제목의 강연 중 앞부분, 2013.9.13.) - 크로스체크(CrossCheck)를 사용한 논문 유사도 검사 (제4차 과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출판윤리 워크숍 강연, 2013.12.13.) - 과학기술자와 소통능력 (새 창에서 열기) (동영상) (공학교육혁신센터 소규모 전공캠프 강연, 2012.1.10.)
- 칼럼·기고
- 학기말 시험 이야기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7.12.27.) - 다양성 보고서를 만들자!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7.11.29.) - 과학기술인들의 헌법 이야기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7.11.01.) - 수평적 소통, 성찰과 품격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7.09.27.) - 과학은 우기지 않는 거다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7.08.30.) - 먼저 시민이 되자!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7.08.02.) - 청문회에서 연구진실성위원회로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7.07.05.) - 부드러운 언어와 날카로운 논리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7.06.07.) - 사랑과 섹스, 결혼 그리고 정명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7.05.10.) - 트랜스젠더 건강 연구와 크라우드펀딩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7.04.12.) - 배움과 비움, 나이 듦과 시민혁명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7.03.15.) - 딱따구리와 헌법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7.02.15.) - 수학과 글쓰기 (크로스로드 통권 137호, 2017.2.) - 시민적 정체성과 전문가적 정체성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7.01.18.) - 인칭대명사와 정명(正名)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6.12.21.) - 국론 통일과 역사 교과서 국정화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6.11.23.) - 부끄러움은 왜 학생의 몫인가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6.10.26.) - 21세기 교육과 20세기 학교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6.09.28.) - 대학을 옥죄는 공인인증의 망령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6.08.31.) - 성균관대의 가혹한 구상권 청구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6.08.03.) - 연구윤리와 연구자 공동체, 그리고 사회적 책임 (동아사이언스 ESC의 목소리(1), 2016.07.18.) - ESC, 과학기술인들의 새로운 도전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6.07.06.) - 하늘 밭에 뿌린 하얀 비행기의 꿈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6.06.02.) - 과학기술자와 국회의원 선거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6.05.07.) - 인공지능이 히틀러를 지지한 이유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6.04.07.) - 낯선 세상과 대학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6.03.10.) - 축구와 인공위성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6.02.11.) - '걸스로봇'을 응원하는 이유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6.01.14.) - 논문도 글이다!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5.12.17.) - 국정화, 설령 선의라 해도…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5.11.19.) - 충돌하는 이해와 의도하지 않은 편향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5.10.22.) - 기록하지 않는 사회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5.09.24.) - 오름과 삶, 그리고 길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5.08.27.) - 수학,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?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5.07.30.) - 메르스와 핵발전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5.07.02.) - 평범한 선생의 좋은 가르침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5.06.04.) - 데이터와 정치, 그리고 과학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5.05.07.) - 제주 오름에 올라 4·3을 추념하다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5.04.09.) - 대학 내 갑을 문제,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?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5.03.12.) - 적어도 꼰대는 되지 말자!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5.02.05.) - 월성 원전 1호기의 운명은?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5.01.09.) - 정말 미안합니다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4.12.12.) - 이공계 교육과 치킨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4.11.14.) - 영어강의와 청개구리 교수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4.10.17.) - 광화문의 바보 목사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4.9.19.) - 수학, 자유로운 시민의 필수 교양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4.8.22.) - 문제는 연구윤리가 아니라 청와대다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4.7.25.) - 교수님, 제발 수업 좀 제때…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4.6.27.) - 돌아가야 할 일상 (한겨레 <세상 읽기> 2014.5.30.) - 과학교육과 인문학, 그리고 융합! (한겨레 <시론> 2014.4.1.) - 수학 시험과 대선 불복 (한겨레 <왜냐면> 2013.10.31.) - 탈핵의 쟁점과 공학자의 시선 (크로스로드 9권 8호, 2013.8.) - 절터 유람기 (새 창에서 열기) (공학교육학회지 2012년 4월호)
- 책 소개
- 인공지능의 아버지, 기계도 생각한다 (중앙일보 <책 속으로> 2015.02.07.) - 재미있고 유익한 논리학 길잡이... (새 창에서 열기) (통신학회 웹진 3월호) - 괴델의 증명 (새 창에서 열기) (고대투데이 2012년 봄호, 한겨레 사이언스온)
|
|